광명시는 수도권 내의 주요 도시로 서울과 가까운 위치에 있어 교통량이 많고 교통 혼잡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광명시의 주요 교통 문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우선 광명시는 서울로의 접근성이 뛰어나 많은 주민들이 서울로 출퇴근하는데 이로 인해 출퇴근 시간에 주요 도로와 고속도로가 혼잡해집니다. 특히 광명IC와 서부간선도로, 남부순환도로 등의 주요 교통망이 자주 막히는 문제가 있으며 광명시 일부 지역은 지하철이나 버스 노선이 충분하지 않아 주민들이 교통 이용에 불편을 겪습니다. 특히 시 외곽 지역의 경우 대중교통이 부족해 자가용 이용이 많아지고 이는 교통 혼잡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됩니다.광명시는 교통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발전을 위해 여러 가지 교통 개선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재 건설되고 있는 공사의 구체적인 연결과 정차,통과하는 길을 중심으로 살펴 보겠습니다.
1.현재 공사 중인 사업
1)안산~광명 학온~KTX광명역~여의도 구간의 신안산선은 광명시와 서울 여의도, 강남권을 연결하는 중요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광명역에서부터 여의도, 서울역까지 연결될 예정입니다. 이 노선은 광명 시민들의 출퇴근 시간을 크게 줄여주고, 서울 중심부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신안산선
2)월곶~광명 학온~KTX광명역~안양~판교로 이어지는 월판선은 시흥 월곶에서 성남 판교까지 연결하는 복선 전철 노선으로 수도권 남부 지역의 동서 간 이동을 크게 개선할 예정입니다.

월판선 노선도
3)2025년부터 2030년까지 KTX광명역에서 용산~서울~수색 간 고속철도 전용선인 수색선은 서울 도심과 경기 서부를 빠르게 연결하기 위해 건설될 지하 고속철도 전용선입니다.이 사업의 핵심 목표는 서울역-광명역 구간의 KTX 운행 시간을 현재 약 14.5분에서 10분 미만으로 줄이는 것입니다.

수색-용산-서울역-광명 연결 ktx 계획도
2.신규 추진 예정인 사업
1)KTX광명역에서 3기 신도시~광명사거리~신도림을 연결하는 광명~시흥선이 개통되면 광명-시흥 신도시에서 서울 도심까지의 이동 시간이 약 20분대로 크게 단축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노선은 수도권의 교통망을 강화하고, 특히 스피돔역과 같은 신규 역이 추가될 가능성도 검토 중에 있습니다. 현재 이 프로젝트는 2030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광명-시흥선
이 철도망은 GTX-B 노선과도 연결될 예정으로, 수도권 서부의 교통 접근성을 크게 개선할 계획입니다.
2)GTX-D 노선은 수도권 서부와 서울 강남을 연결하는 광역급행철도로, 수도권의 교통 혼잡을 해소하고 서울 중심부로의 출퇴근 시간을 대폭 단축하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GTX-D는 인천에서 출발해 서울 강남을 경유하고 하남까지 이어질 예정입니다. 이 노선은 다른 GTX 노선들과 함께 수도권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GTX-b노선도
3)GTX-G 노선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네트워크의 새로운 노선으로, 포천에서 인천까지 연결하는 노선입니다. 이 노선은 경기 북부와 서부 지역의 교통 편의를 크게 향상시킬 계획입니다. 주요 경유지로는 포천, 동의정부, 구리, 건대입구, 사당, KTX 광명역, 광명시흥 신도시, 인천 숭의 등이 있습니다.이 노선은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으로의 출퇴근 시간을 크게 줄여 수도권 전역의 교통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GTX-G노선도
4) 시흥, 광명, 하안, 금천, 신림을 연결하는 신천-하안-신림선은 시흥, 광명, 하안, 금천, 신림을 연결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교통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추진 중인 중요한 광역 철도 사업입니다. 이 노선은 시흥의 신천역을 출발해 광명 하안지구를 거쳐 서울 신림역구간을 연결할 예정입니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교통 인프라가 부족했던 지역들의 서울 도심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어 서울 주요 지역으로의 이동 시간이 크게 단축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신천-하안-신림선은 신림선과 신안산선 등 다른 주요 철도와도 연결되어 수도권 서남부의 교통 체계를 종합적으로 개선할 것입니다.

신천-하안-신림선
이러한 계획들은 광명시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향후 교통 편의성 개선과 더불어 경제 및 사회적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