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은 뉴욕 재개발에 대하여 해보았으며 이번 포스팅은 서울에서 뉴욕과 같은 위치에 있는 용산 재개발에 대하여 살펴봅니다.용산재개발은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한 용산구를 다양한 목적의 개발 프로젝트로 새롭게 정비하는 계획을 의미합니다. 용산 지역은 그동안 미군 기지 오래된 주거 지역, 상업 지역 등이 혼재해 있었는데 이런 요소들을 개편하고 현대적 도시 공간으로 바꾸려는 목적으로 재개발이 추진되었습니다. 용산재개발은 시기마다 다른 계획과 방향성을 가지고 전개되어 왔습니다.

1. 2000년대 초반은 초기 구상 단계입니다.

-서울의 중심지에 위치하면서도 미군기지와 오래된 건물들로 인해 제대로 개발되지 못한 용산의 가치를 재발견하기 시작한 시기입니다.
-서울시는 용산을 동북아시아의 중심 경제지구로 개발하려는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기반으로 여러 건설사와 협업을 모색합니다.
-미군기지가 단계적으로 반환된다는 소식과 함께 용산에 대한 대규모 개발 계획들이 구상되었습니다.
2. 2005~2010년대는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계획이 발표된 시기입니다.

-2007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계획이 발표되었으며 이 계획은 고층 빌딩과 세계적 수준의 상업 시설, 주거 단지를 포함하는 대규모 개발을 목표로 했습니다.
-드림허브 프로젝트로 용산역 일대와 강변을 포함한 약 50만 제곱미터의 면적에 초고층 타워와 상업지구를 건설하려는 거대한 프로젝트였습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의 여파로 재정적 부담이 커졌고 토지 보상 및 개발권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하여 결국 프로젝트가 중단되었습니다.
3. 2010년대 중반~후반에는 용산공원 개발과 미군기지 반환이 진행 되었습니다.

-이 시기 동안 용산 미군 기지의 반환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고 반환된 부지에 용산공원을 조성하는 계획이 추진되었습니다.
-반환된 미군기지를 중심으로 대규모 공원화 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이는 도시의 생태와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용산의 이미지를 쇄신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계획입니다.
-공원화 계획은 여러 단계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는 시험 개방을 거쳐 점진적으로 완성할 예정입니다.
4. 2020년대 이후에는 주거지 및 상업지 개발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용산구의 한남뉴타운, 이촌동 등 지역별 재개발을 통해 현대적 주거단지가 조성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남뉴타운은 용산의 새로운 주거 중심지로서 큰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용산역 일대를 상업지구로 재편하며 용산 전자상가를 현대적인 복합 상업 단지로 개발하는 계획이 진행 중입니다.
-용산정비창 부지에는 대형 랜드마크와 상업 및 업무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며 용산을 국제적인 경제 허브로 만드는 중요한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5. 향후 전망

-용산재개발은 생태 친화적인 설계와 미래 지향적인 도시 기반 시설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용산역을 중심으로 한 교통 허브의 확대와 인프라 확충이 예정되어 있으며 향후 인구 유입과 관광객 증가를 대비한 개발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용산재개발은 서울의 새로운 중심지로 자리 잡기 위해 여러 단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